스킵네비게이션

주메뉴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단체예약
  • 교육신청
  • 문화행사
  • 대관신청

본문영역

홈 > 전시·체험 > 기획 전시 > 현재 전시

공쥬, 글시 뎍으시니: 덕온공주 집안 3대 한글 유산
전시기간
2019-04-25~2019-08-18
전시장소
기획전시실
개관 5주년 기념 기획특별전, 공쥬, 글시 뎍으시니:덕온공주 집안 3대 한글 유산. 2019. 04. 25 ~ 2019. 08. 18. 국립한글박물관 3층 기획전시실 – 전시안내 포스터
  • 개관 5주년 기념 기획특별전
    공쥬, 글시 뎍으시니:
    덕온공주 집안 3대 한글 유산
  • 전시 기간
    2019년 4월 25일 목요일 ~
    2019년 8월 18일 일요일
  • 전시 장소
    기획전시실
  • 전시 구성
    1부
    덕온공주, 왕실의 품격을 한글로 빛내다
    2부
    윤용구, 한글로 여성과 소통하다
    3부
    윤백영, 왕실 한글을 지키고 가꾸다
전시 내용

국립한글박물관은 개관 5주년을 맞이하는 2019년 첫 번째 기획특별전으로 조선의 마지막 공주 덕온과 아들, 손녀 3대가 쓴 한글 자료와 생활 자료 200여 점을 한곳에서 보여주는 전시를 마련하였다.
전시를 위해 국립한글박물관은 2016년부터 덕온공주 집안 한글 자료를 꾸준히 수집해 왔으며 2019년 1월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이 구입하여 이관해 준 덕온공주 친필 『경뎐긔』 등 68점이 더해지면서 400여 점의 덕온공주 집안 자료를 소장하게 되었다.
이번 전시는 왕실의 품격이 녹아 있는 아름다운 한글 궁체와 함께 덕온공주德溫公主(1822-1844)와 아들 윤용구尹用求(1853-1939), 손녀 윤백영尹伯榮(1888-1986) 3대가 시공간을 뛰어넘어 한글을 통해 서로 마음을 주고받은 따뜻한 가족 사랑 이야기를 만날 수 있는 자리이다.

전시장은 크게 3부로 구성된다. 1부 ‘덕온공주, 왕실의 품격을 한글로 빛내다’에서는 덕온공주가 부모님을 생각하며 친필로 쓴 우아한 한글 궁체를 만날 수 있다. 2부 ‘윤용구, 한글로 여성과 소통하다’에서는 덕온공주의 양아들 윤용구가 여성들을 위해 한글로 편찬한 중국 역사서와 딸 윤백영에게 써준 여성 교훈서 등을 선보인다. 3부 ‘윤백영, 왕실 한글을 지키고 가꾸다’에서는 덕온공주의 손녀 윤백영이 아버지를 생각하며 쓴 한글 서예 작품들과 윤백영이 고증한 왕실 한글 자료에 대한 기록들을 소개한다. 덕온공주와 그 후손들이 왕실과 주고받은 편지를 통해 옛 한글 편지의 특성을 볼 수 있는 자리도 마련하였다.

이번 전시에서는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았던 덕온공주의 친필이 다수 소개된다. 아버지 순조의 『자경전기慈慶殿記』를 한글로 옮겨 쓴 덕온공주의 『경뎐긔』 , 여성을 위한 가르침 「규훈閨訓」과 『고문진보언해古文眞寶諺解』의 중국 명문장들을 베껴 쓴 공주의 글씨들을 만날 수 있다. 덕온공주의 아들 윤용구가 고종의 명으로 편찬한 중국 역사서 『정사기람正史紀覽』, 중국 여성 열전인 『동사기람彤史紀覽』, 딸 윤백영에게 주기 위해 모범이 되는 중국 여성 이야기를 추린 『여사초략女史抄略』 등도 전시된다. 왕실의 한글 궁체가 현대로 이어지는 데 기여한 윤백영의 한글서예 작품도 소개된다. 중국의 어진 황후 「한나라 명덕황후 마씨 전기」, 효도에 관한 노래 「훈민가訓民歌」 등 윤백영이 10대 때부터 80대까지 쓴 다양한 서예 작품도 볼 수 있다.


▲ 전시 소개 영상
※ 영상을 클릭하면 재생됩니다.
전시 구성
  • 1부
    1부.  덕온공주, 왕실의 품격을 한글로 빛내다

    덕온공주德溫公主(1822-1844)는 조선의 제23대 왕 순조純祖(1790-1834)와 왕비 순원왕후純元王后(1789-1857)의 막내딸로 태어났다. 어린 나이에 오빠와 언니들, 아버지가 세상을 떠나 어머니와의 관계가 더 각별하였다. 혼인한 이후에는 자신이 낳은 자식들을 먼저 보내고 23세라는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
    덕온공주는 어려서부터 책을 읽고 쓰는 것을 좋아하여 많은 양의 한글 자료를 남겼다. 특히 아버지가 쓴 『자경전기慈慶殿記』와 어머니가 주신 『고문진보언해古文眞寶諺解』의 중국 명문장 등을 한글로 필사하였다. 공주로서의 품격이 느껴지는 우아하고 아름다운 덕온의 한글 궁체에는 부모를 생각하는 딸의 지극한 마음이 담겨 있다.
    또한 공주가 쓴 한글 자료에서는 한문 문장의 발음을 한글로 적고 우리말로 번역하여 즐겼던 당시 여성들의 한글 사용 특성도 확인할 수 있다.

    전시장 도입부 영상, 공쥬 글시 뎍으시니
    ▲ 전시장 도입부 영상 ‘공쥬 글시 뎍으시니’

    한글로 더하는 가족의 정, 전시 공간
    ▲ ‘한글로 더하는 가족의 정’ 전시 공간

    부모를 섬기는 마음 자경뎐긔 전시 공간
    ▲ ‘부모를 섬기는 마음 『경뎐긔』’ 전시 공간


    자경전기 사진
    ▲ 덕온공주가 한글로 풀어 쓴 아버지 순조의 자경전기
        경뎐긔 | 慈慶殿記
        순조純祖(1790-1834) 지음, 19세기, 32×528cm
    덕온공주德溫公主(1822-1844)가 어머니 순원왕후純元王后(1789-1857)의 명으로, 아버지 순조純祖(1790-1834)의 『자경전기慈慶殿記』에 토를 달아 한글로 쓰고 이어서 번역문을 적은 자료이다. 끝에 있는 윤백영의 부기에 그러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자경慈慶은 자전慈殿(임금의 어머니)의 장수를 기원하는 뜻을 담고 있다. 정조, 순조, 덕온공주로 이어지는 조선 왕실 3대의 깊은 효심을 잘 보여주는 자료이다.
    규훈외편 사진
    ▲ 덕온공주가 한글로 풀어 쓴 부녀자가 지켜야 할 덕목과 예절
        규훈외편 | 閨訓外編
        19세기, 32.3×137.1cm
    덕온공주가 한글로 풀어 쓴 『규훈외편』으로, 부모에 대한 공경과 형제간의 우애를 강조하는 내용이다. 한문 원문 없이 한글 번역문만을 실었다.
  • 2부
    2부.  윤용구, 한글로 여성과 소통하다

    윤용구尹用求(1853-1939)는 윤회선尹會善(1801-1861)과 여흥 민씨驪興 閔氏(1821-1904)의 둘째아들로 태어나 요절한 덕온공주의 양자가 되었다. 학식이 뛰어나 판서 등 중요 관직을 지내고 왕실의 인척으로 고종高宗(1852-1919)을 보필 하였다. 일제에 나라를 빼앗긴 후 일본의 작위를 거부하고 장위산 기슭에 은거하면서 음악과 그림, 글씨에 전념하였다.
    윤용구는 덕온공주의 한글 쓰기를 이어받아 한학자로서 이례적으로 방대한 분량의 중국 역사를 한글로 써서 남겼다. 특히 본받을 만한 여성의 행적을 골라 딸에게 직접 한글로 써 준 『여사초략女史抄略』에는 36세에 얻은 첫딸 윤백영에 대한 각별한 애정을 담았다. 윤용구가 쓴 한글 역사서에서 남성이 쓴 한글 서체의 강건함과 함께 한글로 여성과 소통하고자 했던 마음을 느낄 수 있다.

    2부 윤용구의 전시 공간
    ▲ 2부 윤용구의 전시 공간


    여사초략 사진
    ▲ 윤용구가 딸 윤백영에게 한글로 써준 중국의 여성들의 행적
        여사초략 | 女史抄略
        1899년, 32×537.6cm
    윤백영이 12세 때 아버지 윤용구가 써 준 교훈서이다. 한문 원문을 적고 뒤에 우리말 번역문을 실었다. 조선 시대에 일반적으로 통용되던 여성 교육서에 포함되지 않은 다양한 인물 30명의 행적이 수록되어 있다.
    동사기람 사진
    ▲ 윤용구가 한글로 쓴 중국 여성의 전기
        동사기람 | 彤史紀覽
        19-20세기, 28.5×19.2cm
    윤용구가 한글로 풀어 쓴 중국 여성들의 전기傳記이다. 상고 시대에 혼인의 예법이 생겨난 유래부터 명나라 융무제隆武帝의 왕비 증후曾后의 이야기까지를 수록하였다.
  • 3부
    3부.  윤백영, 왕실 한글을 지키고 가꾸다

    윤백영尹伯榮(1888-1986)은 윤용구와 그의 두 번째 부인 연안 김씨延安 金氏(1873-1954) 사이에 태어났다. 아버지 윤용구에게 『소학小學』 등을 배우고, 덕온공주가 시집올 때 가져온 수천 권의 왕실 한글 서적들을 읽으며 자랐다.
    궁과의 인연이 특별한 집안에 태어난 윤백영은 집안에 전해오던 덕온공주의 친필자료 등 다수의 한글 자료를 간직하고 기록을 남겼으며, 아버지를 생각하는 마음이 남달라 아버지가 쓴 한글 자료를 베끼고 보충하였다.
    윤백영은 평생 한글을 쓰고 가꾸었다. 42세였던 1929년 한글 궁체로는 처음으로 조선미술전람회에 입선하였고, 이후 많은 한글 서예 작품을 남겨 왕실 한글 궁체의 품격을 현대로 이어주는 데 기여하였다.

    3부 윤백영의 전시 공간
    ▲ 3부 윤백영의 전시 공간


    사도온전 사진
    ▲ 윤백영이 한글로 쓴 사도온전
        사도온전 | 謝道韞傳
        20세기, 26.1×237.5cm
    윤백영이 한글로 풀어 쓴 중국 동진 시대의 지혜로운 여성 사도온謝道韞의 이야기이다. 아버지 윤용구가 편찬한 『동사기람彤史紀覽』 권3에 동일한 내용이 있다.
    훈민가 사진

    ▲ 윤백영이 어버이를 생각하며 쓴 노래
        훈민가 | 訓民歌
        1964년, 23.5×42.7cm
    윤백영이 송강松江 정철鄭澈(1536-1593)의 「훈민가訓民歌」 중 효성에 관한 노래를 쓴 것이다. 77세 때의 글씨로 어버이에 대한 효의 마음을 애틋하게 담고 있다.
  • 옛 한글 편지 어떻게 썼을까?
    옛 한글 편지 어떻게 썼을까?

    조선 시대의 한글 편지는 발신자나 수신자 중 한 명이 여성으로, 남성 간에 주고 받은 한문 편지에 비해 사용 폭이 훨씬 넓었다. 옛 한글 편지는 의사소통의 기능이 강조되는 자료인 만큼 정해진 형식에 따라 작성되었다.
    덕온과 그 후손들이 왕실과 주고받은 한글 편지들은 약 130여 편이 남아 있다.
    이들 편지에는 윤백영의 부기付記(덧붙인 기록)가 있어서 발신자와 수신자 등 편지의 형식과 관련한 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덕온공주 집안의 한글 편지에서는 당시의 생활 모습과 오늘날에는 잘 쓰이지 않는 19-20세기 우리말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옛 한글 편지 어떻게 썼을까 전시 공간
    ▲ ‘옛 한글 편지 어떻게 썼을까’ 전시 공간


    순원왕후가 사위 윤의선에게 보낸 친필 편지 사진
    ▲ 순원왕후가 사위 윤의선에게 보낸 친필 편지
        순원왕후 언간 | 純元王后 諺簡
        19세기, 편지 22.5×42.5cm 봉투 22.5×5cm
    “궁으로 안부는 대강 아나 궁금하기 측량없었는데, 봉서 보고 든든하며 반갑네. 몸에 병 없는 일 다행하나 오래 보지 못하는 사연을 보니 가슴이 막히고 슬프기 어떻다 적지 못하네. 어버이 병환이 매우 긴박하신가 싶으니 어둑한 심사로 염려를 떨쳐버리지 못하네. 또 있는 집이 노상 매우 좁을 뿐 아니라 겨울 넘기기도 어려운가 싶으니 그러하면 어찌 지낼고 답답하네. 편지나 자주 하고 싶으나 공연히 날마다 경황이 없고 한가하지 못하여 친히 쓰지 못하고 대서는 섭섭하여 (편지 보내는 것이) 날포 되었네. 도위나 자주 하면 아무 때나 답장하겠네. …… ”
관련 자료

공공누리마크

공공누리의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에 따라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

공유하기
트위터 트윗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주소복사
목록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별점3개

별점2개

별점1개

의견을 남겨주세요.
보내기
담당부서:
전시운영과 (전화번호: 02-2124-6324, 6327, 63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