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주메뉴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단체예약
  • 교육신청
  • 문화행사
  • 대관신청

본문영역

현재 전시

홈 > 전시·체험 > 기획 전시 > 현재 전시

서울 구경 가자스라, 한양가
전시기간
2023-09-27~2024-02-12
전시장소
기획전시실
서울 구경 가자스라, 한양가

Hanyangga: An Ode to Seoul


  • 기간 2023. 9. 27.(수)-2024. 2. 12.(월)
  • 장소 기획전시실(3층)

조선 후기, 풍요롭고 구경거리가 넘쳐나던 수도 서울의 풍경을 눈으로 직접 본 듯 그려낸 한글 노래가 있습니다. 1844년 한산거사(漢山居士)가 지은 『한양가漢陽歌』에는 왕의 공간 궁궐에서부터 관아가 있는 육조거리, 조선과 타국 물산이 넘쳐나는 왁자지껄 시장, 별감의 승전놀음, 왕의 능행길, 궁에서 열린 과거 시험 풍경이 담겨 있습니다. 수도 한양에 대한 애정과 자긍심, 나라의 태평성대와 번영을 기원하는 마음도 잘 드러나 있습니다. 당시 사람들에게 수도 한양을 이해하는 데 더할 나위 없이 훌륭한 길잡이였습니다.

이번 기획특별전은 『한양가』를 우리말글의 관점에서 소개하는 최초의 전시입니다. 『한양가』에 묘사된 조선 후기 한양을 실감나게 체험할 수 있도록, 관람객들이 『한양가』의 여러 공간을 직접 거니는 것처럼 전시장을 구성했습니다. 또한 『한양가』가 들려주는 이야기에 귀 기울일 수 있는 방식으로 연출하였습니다. 『한양가』 속 다양한 직업명과 물건명 등 당시의 삶과 문화를 보여주는 어휘도 함께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한글 노래로 전한, 한양의 찬란했던 순간들을 만나고 우리말글로 다시 새롭게 써 내려갈 서울을 생각해 보는 시간이 되시기를 바랍니다.


1부  아름다운 수도, 한양을 노래하다

한양은 임금님이 계신 나라의 수도이기도 하지만 그곳에 사는 이들에게는 일상을 살아가는 삶의 터전이기도 합니다. 국가의 중요한 시설이 갖추어져 있고 조선 팔도와 타국의 물화가 모이는 번화한 곳이라 타 지역 사람들에게는 한번쯤은 꼭 가보고픈 동경의 공간이기도 했습니다.

사람들은 수도 한양을 글과 그림 등으로 남겼습니다. 한양 명소의 아름다운 풍광을 노래하기도 하고, 삶의 터전으로서의 공간을 묘사하는가 하면, 한양의 역사와 풍물을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수도 서울에 대해 다룬 한글 노래는 고려가요부터 조선 초기의 경기체가, 조선 후기의 시와 가사에 이르기까지 다양합니다. 특히 한산거사가 지은 『한양가』(1844)는 한양만을 본격적으로 다룬 최초의 한글 문학입니다.

마치 한양을 직접 가서 보는 것처럼 생생하여 한양을 가보지 못한 이들에게는 그곳을 이해하는 중요한 길잡이가 되었습니다. 수도 한양에 대한 애정과 자긍심이 가득한 『한양가』는 1880년 상업용 서적 방각본으로도 만들어져 더 많은 사람들에게 널리 읽힐 수 있었습니다.

2부  활기차다 한양 거리, 번화하고 신기하다

조선 후기 활기찬 한양 거리는 번화하고 신기하며 각종 구경거리로 넘쳐납니다. 먼저 궁궐에 가서 아름다운 전각과 연못 등을 노닐다가, 임금님이 나랏일을 하는 정전(正殿) 안에는 뭐가 있나 들여다봅니다. 궁에서 일하는 나인, 무수리, 별감, 무관 등이 입고 있는 옷도 구경하고, 궁궐 안팎에서 일하는 여러 부처의 관리들이 분주히 움직이는 모습도 관찰합니다.

시장에 가서는 조선 팔도와 타국의 각색 물건을 벌여 놓고 파는 여러 상점들을 다니며 그 화려함과 떠들썩함에 놀랍니다. 한양에 가면 꼭 봐야 한다는 여러 명승지와 놀음을 구경하고, 온갖 놀음 중에서도 단연 최고라고 하는 승전놀음에도 은근슬쩍 찾아가 봅니다.

평생 한 번 볼까 말까 한 임금님을 볼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고 해서 능행길도 따라가 봤습니다. 주교대장의 지휘 아래, 능행 행렬이 배다리로 강을 건너는 신기한 광경을, 넋을 놓고 바라봤습니다. 능행길에서 돌아온 임금님이 춘당대에서 직접 과거 시험을 주관한다고 하시니, 과거 시험이 어떻게 치러지는지 궁금해 하루 종일 구경도 했습니다.

이만하면 한양 구경 한번 아주 잘~ 했습니다.

- 1844년 한산거사가 지은 『한양가』

3부  변화하는 수도 서울, 힘차게 나아가다

19세기 중반, 서울은 변화의 새 바람이 불기 시작했습니다. 문호를 열고 더 커진 세상에서 바라본 서울은 더 이상 우리만의 도시가 아니었습니다. 서울은 조선의 전통과 서구적 근대가 공존하는 도시로 변모해 갔습니다.

호머 헐버트(Hulbert, H.B. 1863-1949)의 『사민필지』(1889)에서 서울은 세계 여러 도시 중 하나로 소개되었습니다. 1896년 학부(學部)에서는 한글 세계 지도를 펴냈으며, 초등교과서에서는 더 넓어진 관점에서 서울에 대해 서술했습니다. 서양인의 관점에서 서울을 소개한 책도 다수 간행되었으며 여행지로서의 서울을 소개하는 책들도 나왔습니다.

1910년 일제에 나라를 빼앗긴 후, 사공수(司空檖, 1846-1925)라는 이는 나라를 빼앗긴 울분과 반성, 새 희망의 의지를 담아 『한양오백년가』(1913)를 짓기도 했고, 지방 거주 여성이 기차와 전차 등 교통의 발달로, 더 가까워진 서울을 여행하고 기록을 남기기도 했습니다.

일제강점기를 지나 해방을 맞이하고, 한국전쟁을 치르고, 산업화 등을 겪으며 서울은 끊임없이 도약하고 변모했습니다. 1988년 서울 올림픽과 2002년 한ㆍ일 월드컵을 치르면서 국제도시로서의 저력을 보여주기도 했습니다. 오늘날 한국은 K팝, 드라마, 영화 등을 통해 문화강국으로서 위세를 떨치고 있으며, 서울은 한번 가 보고 싶은 도시로 손꼽히고 있습니다.


- 전시 해설: 11:00, 15:00 / 기획전시실(3층) 앞
2023년 국립한글박물관 학술대회
  <한양가>로 그려낸 조선 후기 한양
  - 10. 13.(금) / 국립한글박물관 강당 및 온라인 (행사 종료)

공공누리마크

공공누리의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에 따라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

공유하기
트위터 트윗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주소복사
목록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별점3개

별점2개

별점1개

의견을 남겨주세요.
보내기
담당부서:
전시운영과 (전화번호: 02-2124-6324, 6327, 63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