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지난 전시
홈 > 전시·체험 > 기획 전시 > 지난 전시
디지털 세상의 새 이름_코드명 D55C AE00
- 전시기간
- 2015-10-06~2016-01-31
- 전시장소
- 특별전시실
전시 개요
- ○ 전 시 명: 디지털 세상의 새 이름_코드명 D55C AE00
- ○ 전시 기간: 2015. 10. 6. 화요일 ~ 2016. 1. 31. 일요일
- ○ 전시 장소: 국립한글박물관 특별전시실(3층)
전시 내용
여러분은 ‘정보화’나 ‘한글 정보화’에 대해서 알고계십니까?
“전자를 아는 자만이 새 시대에 살아남는다.”
- ‘미지의 빛’, 시인 조병화, 1982년 전자신문 창간호에서
2015년 현재, ‘미지의 빛’은 ‘일상의 빛’이 되었지만 그 빛이 생활 속 어디에 있는지는 잊고 지낸 것이 아닐까요?
한글 ‘워드프로서서’와 ‘자판’, 컴퓨터 속 ‘한글 코드’와 ‘폰트’, 한국어 조사 · 수집 · 분류 · 분석을 가능하게 한 한국어 빅데이터 ‘말뭉치’, ‘음석인식, 자동 통 · 번역’ 등은 한글 정보화의 산물입니다.
정보화 시대의 물결이 일상에 스며들기 시작했던 1980년대부터 현재까지 ‘한글 정보화’를 가능하게 했던 노력과 현재의 일상 속 한글 정보화의 숨겨진 이야기를 찾아보고자 합니다.
정보화 속 한글 콘텐츠의 가치를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워드프로세서
아버지, 제가 출력해 드릴게요.
워드프로세서로 다양한 형태의 문서 제작이 가능한 시대입니다.
워드프로세서가 개발되지 않았던 과거에는 손글씨로 문서를 쓰는 것이 일상이었지요.
1982년 고교생이 최초로 만든 ‘한글 워드프로세서 버전 1.0’, 한글 2.0으로 만든 가족 간의 일상 이야기 ‘가족월보’ 등 한글이 컴퓨터에 적응하기 위해 노력한 사람들의 이야기와 일상을 만나봅니다.
자판
자판을 바꿔드릴까요.
내 손에 맞는 자판을 골라 쓰는 시대입니다.
과거에는 매체, 제조사별로 자판이 달라 불편함을 겪었던 시절도 있었지요.
한글자판, 속기자판, 필기 인식 등 한글 공학이 녹아 있는 다양한 한글의 입력방식을 만나봅니다.
코드
제 이름은 설므ㅣ(믜)인데요.
현대 자모로 조합 가능한 현대 한글 11,172자와 옛한글 등을 어려움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시대입니다. 그러나 일부 전산망에서는 아직까지 사용이 제한적이어서 불편한 경우가 있지요.
한글 코드의 표준화 과정과 노력 그리고 일상에서 아직 불편함을 겪고 있는 이야기를 만나봅니다.
폰트
어떤 폰트를 쓸까?
사용자의 목적, 취향, 감정에 따라 다양한 기기에서 폰트를 골라 쓰는 시대입니다. 몇 개의 폰트가 고작이라 선택의 여지가 없던 시절도 있었지요.
폰트의 용어, 종류와 옛 편지 글씨를 현대 폰트로 만드는 과정을 알아봅니다.
말뭉치
‘사랑해’는 순위는 7번째.
우리가 매일 하는 말, 매일 쓰는 글.
한국어 빅데이터를 체계적으로 모으고, 분류하고, 분석하는 시대입니다. 컴퓨터가 없던 시대에는 시도할 수 없는 일이었지요.
한국어 빅데이터인 말뭉치가 무엇인지, 어디에 사용하는 것인지를 알아봅니다.
전시 사진

공공누리의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에 따라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담당부서:
- 전시운영과 (전화번호: 02-2124-6324, 6327, 63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