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주메뉴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광고 언어의 힘

poster_2016_02.png
  • 기간
    2016.07.28.(목) ~ 2017.01.30.(월)
  • 장소
    기획전시실

광고는 제품과 기업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언어와 시각의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한다. 이들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때 광고는 최고의 '말맛'과 '글멋'으로 우리의 마음을 사로잡는다. 이번 전시는 광고 언어의 주요 특징인 '말'과 '글'을 다양한 관점에서 보여준다. 시대별 다양한 광고 언어를 통해, 세상의 광고를 변화시키는 힘은 바로 당신이라는 것을 확인하는 자리가 되길 바란다.

Ⅰ. 광고를 읽는 새로운 시각, 광고 언어
현대 사회에서 광고는 시각적 요소가 중심이 되고 있다. 하지만 정확한 정보 전달을 통해 소비자의 판단을 돕는 것은 여전히 광고의 '말'과 '글', 광고 언어이다. 개화기부터 1945년까지의 주요 광고를 통해 광고 언어의 힘을 느껴보자.
한성주보 제4호 사진
▲ 한성주보 제4호(1886. 2. 22., 신연수 소장)
한문으로 적힌 최초의 광고인 '덕상세창양행고백德商世昌洋行告白'이다. 독일 세창양행이 들여온 광고이다.

독립신문 국문판 제1권 96호 사진, 독립신문 영문판 제1권 102호
▲ 독립신문 국문판 제1권 96호(1896. 11. 14.), 독립신문 영문판 제1권 102호(1896. 11. 28.)
우리나라 최초의 순한글 신문인 『독립신문』에 실린 광고이다. 회사명인 '대죠션 은행 창립소 광고문', '고샬기' 등을 적고 파는 물건을 광고하였다.

신동아 제4권 제3호 사진
▲ 신동아 제4권 제3호(1934. 3. 1.)
'살결이 젊어지는', '비단결 같은 살결' 이라는 표현으로 여성 소비자의 선택을 유도한 화장품 광고이다.

Ⅱ. 광고 언어의 말맛
광고 언어는 짧으면서 상품의 특징을 노골적으로 드러내야 하며, 동시에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불러일으켜야 한다. 광고 언어가 제품의 이야기를 소비자에게 전해 주고, 소비자가 제품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하는 표현법을 만나볼 수 있다.

광고 글쓰기 첫 번째, 제품명을 반복하라
오란-씨 파인 포스터 이미지
하늘에서 별을 따다 하늘에서 달을 따다 두 손에 담아드려요 오란씨
아름다운 날들이여 사랑스런 눈동자여 오 오 오 오 오란씨 오란씨 파인
▲ 오란씨 파인(동아식품(현, 동아오츠카), 1970년대), 제품명 '오란씨'와 '오'를 반복한다.

광고 글쓰기 두 번째, 제품 특성을 드러내라
편강한의원 홍보 이미지
▲ 편강한의원(2014년), 병의 증상과 치료 효과를 재미있게 강조하였다.


광고 글쓰기 세 번째, 색다르게 관심을 끌어라
티몬 홍보 이미지
▲ 티몬(2016년), 한글을 색다르게 조합하여 소비자의 관심과 재미를 유발하였다.
뜻: 말로는 VIP라고 온갖 혜택 다 줄 것처럼 말하면서 암 것도 없어 서운하네 진짜

Ⅲ. 광고 언어의 글멋
Lettering and Typography
광고 언어는 시각화된 글자를 통해 전달된다. 광고 언어는 보다 강력하게 정보를 전달하고 소비자의 시선을 사로잡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글자 디자인을 하게 된다. 전시장에서는 1950년대부터 현재까지 60년간의 레터링 변천사를 볼 수 있다.

Ⅳ. 광고 언어, 우리들의 자화상
광고 언어는 시대의 변화를 생생하게 담아낸다. 1960년대의 산아제한정책에서부터 1990년대 이후 가족 소통, 2000년대 저출산으로 인한 출산장려운동까지 가족과 관련된 사회의 변화를 광고에서 찾을 수 있다.
대한가족계획협회 사진
▲ 대한가족계획협회(현, 인구보건복지협회), 1960년대, '알맞게 낳아서 훌륭하게 기르자!'로 경제적 능력에 따라 적당히 낳아서 제대로 키우자는 주제를 전달하였다.

대한가족계획협회 사진
▲ 대한가족계획협회(현, 인구보건복지협회), 1980년대, '삼천리는 초만원' 이라는 표현으로 적게 낳기를 강조하였다.

제일모직 사진, 로가디스
▲ 제일모직, 로가디스(매일경제, 1990년 9월 20일), '남편의 어깨를 펴줍시다'로 가족 간의 응원, 격려를 강조하였다.

보건복지부 사진
▲ 보건복지부(2014년), '둘이 함께 자라게 하는 것!' 이라는 표현으로 출산을 장려하였다.

담당부서 : 전시운영과 (전화번호 : 02-2124-6324, 6327, 6335)

하단메뉴 영역

예약하기
페이스북 로고 인스타그램 로고 네이버블로그 로고 유튜브채널 로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