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박웃음 2020.4. 제 80호

지난호보기 메뉴열기

이야기 저장소 혼란의 문법 체계를 단일화하다,
남기심

‘기록’의 역사적 가치와 범주가 확장되면서 구술 자료의 가치와 역할도 나날이 중요해지고 있다.
한글의 역사적인 시대를 함께한 다양한 사람들의 목소리를 구술 기록으로 남기고,
다면적 구술 기록의 수집을 통해 사건을 총체적으로 보존하는 일은 국립한글박물관의 주요한 활동 중 하나이다.
국립한글박물관은 지난 2015년도부터 한글문화인물 구술기록사업을 통해 구술자료를 수집하고 있다.
한박웃음은 디지털한글박물관에 보관된 구술 아카이브 자료를 요약해 소개하려 한다.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URL복사
  • 남기심
  • 연세대학교 명예교수, 제6대 국립국어연구원 원장
  • 강현화
  •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 1~2회차
  •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 1회차 2017.09.04.
    2회차 2017.09.13.
  • 1회차 01:55:00
    2회차 02:13:00
  • 강신항, 강현화, 고영근, 김윤경, 이기문, 이상섭, 정연찬, 최현배, 허웅, 홍웅선, 홍윤표, Lukoff
  • 국립국어원, 국어기본법, 국어 순화 작업, 국어 연구, 남북 방언 조사, 남북 언어 순화 자료집, 말뭉치 언어학, 복수 표준어 정책, 사전 편찬, 신어 자료 수집, 연세 한국어 사전, 통일 문법 체계, 학교 문법 체계, 한국어교사 양성 교육, 한국어교육, 현대 국어 통사론

#01 기막히고 대단한 언어의 세계를 만난 1947년

셔츠 위로 자켓을 걸친 남기심 명예교수가 양 팔을 들어올리고 이야기하고 있다. 
“그리고 ‘야 이거 아주 대단한 세계가 있구나.’ 했지. 지적인 세계라고 할까 하는 세계. 내가 모르는 ‘기막힌 세계가 있구나.’ 하는걸”

남기심(1936년 출생)은 연세대학교 명예교수이며 제6대 국립국어원장을 지냈다.
그는 언어에 처음 관심을 갖게 된 일화로 해방 직후 1947년 아버지가
최현배 선생의 국어 강습을 듣고 와 이야기해주었던 추억을 꺼내었다.
“우리 아버지가 국어 교사 강습소에서 강의를 듣고 아마 신기하셨던 거야.
그래서 ‘앉다’에 쌍받침 ‘니은, 지읒’을 써야 하는 까닭을 나한테 얘기를 하신 거야.
(웃음)그런데 그때 나는 그 설명이 이상하게도 쏙 들어와, 금방 이해가 되더라고.
그런데 그 강의 강사가 최현배 선생님이라고 하셔서, 최 선생 이름을 그때 처음 들었었고,
그 설명이 이상하게도 감동적이었어.”

#02 외솔 최현배 선생의 가르침 받은 대학 시절

남기심 명예교수가 정면을 응시하며 이야기하고 있다
“학부 때는 뭐 그냥 굉장히 무섭기만 한 분이었고. 질문도 할 수가 없을 만큼. 그런데 대학원에서는 조금 무리한 질문, 따지듯이 질문을 해도 잘 받아주시더라고.”

그는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 입학하여 연세대에서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미국 워싱턴대학교에서 언어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연세대 재학 시절, 지도 교수였던 외솔 최현배 선생의 모습을 회고했다.
“최 선생께서는 그때 워낙 연세가 높으셨고 그러니까 나하고 40년. 그때 이미 할아버지이셨으니까.
그리고 그때는 교수와 사적으로 가깝게,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분위기가 아니었어.(중략)
학부 때는 뭐 그냥 굉장히 무섭기만 한 분이었고. 질문도 할 수가 없을 만큼.
그런데 대학원에서는 조금 무리한 질문, 따지듯이 질문을 해도 잘 받아주시더라고.”

#03 용어 혼재 계속되던 문법의 체계 단일화

남기심 명예교수가 강현화 면담자를 바라보며 대화하고 있다.
“전권 위임을 받은 우리 둘이 끝없이 싸웠어.”
“제일 싸우셨던 쟁점이 뭐예요? 이견이.”

1963년 학교 문법의 용어가 통일된 이후에도 혼란이 계속되는 학교 문법의
체계를 단일화하여 ‘통일 문법 체계’를 세우는 데 기여하였다.
“…그러다가 팔십 몇 년에, 웬만한 원로 어른들 다 돌아가시고 나서
다시 통일해야 되겠다고 연구위원회가 구성이 되고,
연구위원회에서 집필 위원을 뽑고 이러는 과정에서 나하고 고영근 교수가 지명을 받았어.”
“그런데 나하고 고영근하고 둘 사이에서도 의견 통일이 잘 안돼서... 전권 위임을 받은 우리 둘이 끝없이 싸웠어.(중략)
‘선어말어미’같은 용어 문제를 가지고도 수없이 싸우고 책상 뒤집어엎고 걸상 집어 던지고 했는데도 안 돼서
서로 각기 남의 분야는 간섭하지 않기로 하고선 겨우겨우 마무리했지.”

#04 컴퓨터 활용한 한국 최초의 말뭉치 구축 사업 진행

남기심 명예교수가 정면을 바라본 채 손을 모으고 이야기하고 있다.
“서울의 IBM 회사에 가서 빌다시피 해서 컴퓨터 한 대인가, 두 대인가를 얻었어. 그렇게 시작을 했어.“

또한 남기심은 우리나라 최초로 말뭉치에 근거한 사전 편찬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말뭉치에서 단어가 실제 쓰인 용례를 찾아 그 의미와 용법을 사전에 기술하여 <연세 한국어사전>을 출판하였다.
“두산동아에서 자본을 얻었는데 (그보다도) 컴퓨터가 먼저 있어야 되잖아? 그런데 컴퓨터도 없었거든 하나도.
그런데 그 때 인문학과의 조혜정 교수 남편의 소개로 서울의 IBM 회사에 가서 빌다시피 해서 컴퓨터 한 대인가,
두 대인가를 얻었어. 그렇게 시작을 했어.(중략) 좌우간 그런 식으로 어설프게 아주 어설프게 시작을 한 거야.
그래도 말뭉치 구축 사업은 아마 우리가 최초겠지? 그게 발전해서 국립국어원의 21세기 세종계획,
그 프로젝트의 동기라고 할까? 단서를 제공한 것이었지.”

#05 남북의 모든 방언 조사하겠다는 뜻 펼친 국립국어원 원장 재임 시기

카메라를 응시하며 이야기하는 남기심 명예교수.
“그런 지역은 어쩔 수 없지만, 그래도 조사를 다 못한 것은 아니니까 조사한 자료를 가지고 나와야 하는데 자꾸 검열에 걸린대. 자꾸. 군사기밀이 반출될 수 있으니까.”

2001년부터 2006년까지는 국립국어원 원장을 맡았다.
국립국어원 원장 재임 시절 북한의 지역어 조사 사업, 국어 순화 작업, 국어기본법 제정,
수 표준어 정책, 신어 조사 및 자료 수집 및 정리 등 많은 국어 정책을 펼쳤다.
“우리 국어의 자원은 모든 지역 방언, 계층 방언을 포함한 거 아니겠나?
그런데 우리 손으로 남북을 아우른 삼천리강산 전체의 전국적인 방언 조사를 한 적이 없어.
(중략) 북측에서 조사한 자료를 가지고 나와야 하는데 자꾸 검열에 걸린대.
자꾸. 군사기밀이 반출될 수 있으니까. 그런 어려움이 아주 많았어.”

#06 가정에서도 언어교육 활성화되길

강현화 면담자가 남기심 명예교수를 바라보며 이야기한다.
“(웃음)끝나셨어요? 역시 선생님이 교육자셔서 그런지 마지막 일은 교육으로 마무리를 하시게 되네요.”

마지막으로 앞으로 국어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며
국어학자로서 후학들과 후손들에게 조언을 아끼지 않았다.
“실은 가정에서도 언어교육에 신경을 써야 해. 내가 어렸을 때 집에 편지를 하면 (집에서 내가 잘못 쓴 글을)
고쳐서 도로 보내셨다는 얘기를 앞에서 했는데 그렇게 어른들이 그런 간섭을 좀 했으면 좋겠어.”

‘통일 문법 체계’를 세우고 말뭉치 용례를 활용한 사전을 출판했던
남기심 명예교수의 자세한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지금 바로 아래 영상을 클릭!

오른쪽 상세목록을 선택하면 해당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 영상 재생이 안되는 경우 아래 바로가기를 클릭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