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박웃음 2020.5. 제 81호

지난호보기 메뉴열기

소장품 이야기 현전하는 가장 오래된 한글 노랫말 모음집,
『청구영언』의 보존처리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URL복사

『청구영언』을 양 옆으로 펼친 책. 알아보기 어려운 한글, 한문 혼용 문자들이 세로 쓰기로 누런 빛을 띠는 고서 위에 빼곡이 적혀있다.

▲ 명칭: 『청구영언』
수량: 1건1점 / 지은이: 김천택(金天澤) / 시대: 1728년(영조4년) / 크기: 17.5 × 26.5㎝
‘靑丘永言’ 은 ‘우리나라의 노래’라는 뜻

『청구영언(靑丘永言)』은『해동가요(海東歌謠)』,『가곡원류(歌曲源流)』와 함께 우리나라의 3대 가집(歌集) 중 하나로 손꼽힌다. ‘청구(靑丘)’는 부여, 고구려, 백제, 신라, 고려, 조선으로 이어져 온 우리나라를 달리 칭하는 용어이며, ‘영언(永言)’은 노래를 뜻하는 말로, <청구영언>은 ‘우리나라의 노래’라는 뜻이다. 한글박물관 소장의『청구영언』은 김천택이 1728년에 편찬한 것으로 현전하는 170여 종의 시가집 중 가장 빠른 시기의 것이다. 또한 구전되거나 개인 문집 등에 수록되어 있던 시가 580수를 모아서 펴낸 것으로, 분류와 편집 방식이 체계적이어서 후대 가집들 편찬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하여가’와 ‘단심가’를 한글로 기록하다
이런들 엇더ᄒᆞ며 져런들 엇더ᄒᆞ료 萬壽山 드렁츩이 얼거진들 엇더ᄒᆞ리
우리도 이ᄀᆞᆺ치 얼거져 百年지 누리리라

- 『청구영언』「열성어제」태종 216번 노랫말 -

‘하여가’가 기록된 『청구영언』의 일부분. 흘려 쓴 한글 세로쓰기 글자에서 ‘이런들 엇더ᄒᆞ며 져런들 엇더ᄒᆞ료 萬壽山 드렁츩이 얼거진들 엇더ᄒᆞ리 우리도 이ᄀᆞᆺ치 얼거져 百年지 누리리라’ 구절을 확인할 수 있다.

‘단심가’가 기록된 『청구영언』의 일부분. 흘려 쓴 한글 세로쓰기 글자에서 희미하게 ‘이몸이 주거주거 一白番 고쳐 주거 白骨이 塵土되여 넉시라도 잇고 업고 님 향ᄒᆞᆫ 一片丹心이야 가싈 줄이 이시랴’ 부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몸이 주거주거 一白番 고쳐 주거 白骨이 塵土되여 넉시라도 잇고 업고
님 향ᄒᆞᆫ 一片丹心이야 가싈 줄이 이시랴

- 청구영언 여말 정몽주 8번 노랫말 -

이런들 어떠하리, 저런들 어떠하리, 이몸이 죽고죽어.....누구나 한 번쯤은 들어봤을 구절이다. 바로 태종 이방원의 ‘하여가’와 정몽주의 '단심가'로 『청구영언』에는 이러한 歌詞들이 거의 한글로 기록되어 있다. 당시 한글 가사는 대중들에서 보다 친숙하고 쉽게 받아들여졌고, 일상과 삶 속에 투영되어 대중문화 형성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

아름다운 능화문양 표지와
단정한 線粧으로 엮은 원형은 어디에...

『청구영언』의 표지 교체 전후를 보여주는 사진 두 장. ‘靑邱永言’으로 적혀있어 ‘땅 구’자를 사용했던 부분이 ‘靑丘永言’이라 바뀌며 ‘언덕 구’자를 사용하게 됐다.

『청구영언』의 표지 교체 전후를 보여주는 사진 두 장. ‘靑邱永言’으로 적혀있어 ‘땅 구’자를 사용했던 부분이 ‘靑丘永言’이라 바뀌며 ‘언덕 구’자를 사용하게 됐다.

▲ 표지 교체 전과 후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청구영언』은 그간 행방을 알 수 없다가 2013년 한글박물관에서 입수하게 되면서 존재를 드러내게 되었다. 기쁨도 잠시 입수 당시의 상태는 근대에 생산된 두꺼운 종이를 표지로 삼아 나일론 실로 제본한 상태로 아름다운 능화문양의 표지와 오침안정법의 선장으로 단정히 묶인 조선시대 고서의 모습과는 상당히 거리가 있었다. 재료의 이질감은 청구영언의 역사성과 격을 떨어뜨리는 요소 중 하나로, 교체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내용을 구성하고 있는 본문 역시 여러 사람에 의해 읽히고 열람되어 왔으며 여러 차례 소장자가 바뀌는 과정에서 여러 유형의 손상이 발생하였으며, 결손·찢김·마모, 변색, 얼룩 등의 다양한 물리·화학적적 손상유형이 관찰되었다. 더욱 문제가 된 것은 표지에서 볼 수 있었던 것과 마찬가지로 근래에 수리되어 모든 본문들이 배접되어져 책의 두께가 많이 두꺼워져 있는 상태였다.

(왼)『청구영언』의 측면에서 두께를 재는 모습. 두께 측정 기계에 30.68mm의 두께가 선명하게 표시돼 있다. / (오)배접을 거듭하여 두꺼워진 『청구영언』의 측면 모습▲ 배접 등의 수리로 인해 두꺼워진 상태

처리전
①19.24mm ②30.68mm ③35mm ④25mm
처리후
①8.49mm ②10.17mm ③15mm ④10mm▲ 근대 이루어진 배접 등으로 인해 책의 두께가
원형보다 2배이상 두꺼워진 상태였다.

배접에 사용된 풀 등은 이후에 종이의 산화를 촉진시킬 가능성이 많기 때문에 배접지와 접착제를 제거함과 동시에 전체적인 자료의 서책 두께를 최대한 원래 상태로 되돌리고, 결손부와 찢김 등의 손상이 있는 곳은 보존처리하였다.

『삼강행실도』의 ‘진씨양고(陳氏養姑)’를 배접하는 모습. 흰 플라스틱 통 속에 서책을 놓고 약품을 묻힌 붓으로 도포하고 있다. ▲ 보존처리 과정-클리닝(沈水法)

『고열녀전』의 ‘진과효부(陳寡孝 婦)’가 배접된 모습. 배접지를 반쯤 떼어내 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 배접지 제거(가려진 기록 확인)

『오륜행실도』의 ‘진씨양고(陳氏養姑)’를 배접하는 모습. 핀셋으로 손상 부위에 세밀하게 배접하고 있다.

오리, 도토리 등 배접지의 성분에 따른 두께와 색상변화를 기록한 도표.

▲ 결손보강 및 보강용 천연염색 한지 샘플

흔적조차 남아있지 않은 표지와 책실의 원형을 복원하기 위하여 조선시대 동시대 고서들과, 가집류의 표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보이는 ‘卍’자문의 능화표지를 제작하였다. 제목은 근대에 만들어진 복원 전 표지에 쓰여진 ‘靑邱永言’이 아닌 ‘靑丘永言’ 으로 썼다. 근대 표지를 만들 때 쓴 ‘청구영언’은 서문의 용어를 그대로 차용하여 쓴 것으로 보이는데, 서문에서 ‘丘’ 옆의 ‘阝’는 후대에 가필된 것으로 학자들에 의해 확인되었다.

서울대 규장각에 소장돼 있는 『청구영언』 표지. 한문으로 적힌 표지명이 누런 표지 위로 선명히 드러난다.

한글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가곡원류』의 표지. 붉은 빛을 띠는 표지 위로 가곡원류가 한자로 희미하게 적혀있다.

동경대 오구라문고에서 소장중인 『청구영언』 하권의 표지모습. 울긋불긋한 회색빛 표지 위에 청구영언이 한자로 적혀 있다.

▲ 표지복원을 위한 조사 예

粧冊방식은 五針眼訂法의 線粧인데, 이는 조선시대 고서에서 쉽게 볼 수 있는 형태이다. 복원에 사용된 실은 천연염색한 綿絲를 사용하였으며, 기존의 책구멍을 그대로 연결하여 장책하였다. 모든 재료들은 이후에 원형에 보다 근접한 표지와 표제가 발굴되었을 경우 언제든지 교체할 수 있게 가역성 있는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이후의 보존 보관에 의하여 오동상자를 제작하였다.

서책 복원 시 사용한 실뭉치를 나열한 사진. 각기 색상이 다른 7개의 실뭉치를 늘어놓았다. ▲ 천연염색한 綿絲

실뭉치를 고서에 직접 끼워넣는 장면./바늘과 실을 활용해 실뭉치를 고서에 직접 끼워넣는 장면. ▲ 粧冊 과정

고서 보관을 위한 오동상자의 모습. 직사각형의 반듯한 나무 상자가 고서의 크기에 맞춰 제작돼 있다. ▲ 보존처리 후 『청구영언』과 오동나무 보관상자

남파거사 김천택의 인장을 확인하다

서화류의 문화재에서 진본인지 아닌지 확인할 수 있는 근거 중의 하나가 작가의 인장이다. 청구영언의 서문에는 저자 김천택의 것으로 추정되는 인장이 찍혀있으나 이미지가 흐려 판독이 불가능한 상태였다. 이에 대해 비파괴 이미지 프로세싱 과정을 통한 화상분석을 통해 전서체의 ‘南坡居士’ 로 명확하게 판독할 수 있었다. 『청구영언』에 대한 과학적 조사 과정과, 보존처리 과정은 앞으로 다양한 ‘한글문화유산’의 가치와 중요성을 보존하기 위한 작은 시작이라고 할 수 있다.

청구영언 1면 ‘남파거사’로 추정되는 인장. 찢어진 고서 아랫 부분에 희미하게 보이는 붉은색 정사각형 모양으로 인장이 찍혀있다. ▲ 청구영언 1면 ‘남파거사’로 추정되는 인장

형태를 거의 알아보기 힘든 인장의 모습

형태를 거의 알아보기 힘든 인장의 모습에 명암을 높인 사진

형태를 거의 알아보기 힘든 인장의 모습에서 인장을 붉게 복원해낸 모습

‘남파거사(南坡居士)’라고 명확히 판별된 인장의 모습

‘남파거사(南坡居士)’라고 명확히 판별된 인장의 모습

원고 : 자료관리팀 이진희 학예연구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