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한글박물관 소식지 2017. 12.

2017년 국립한글박물관이 걸어온 길

한글과 한글문화 알리기에 앞장서온 국립한글박물관이 어느덧 개관 4년차를 맞이했다. 그동안 국립한글박물관은 전 세대를 아우르는 전시, 행사, 교육 등 다양한 한글문화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방문객 수는 해마다 늘어 올해 60만 명을 넘어섰으며, 2천여 명에 불과했던 외국인 관람객도 올 한해 만 오천여 수준으로 대폭 증가했다. 2017년 국립한글박물관이 걸어온 길을 돌아본다.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훈민정음 표준 해설서》 제작

국립한글박물관은 훈민정음의 제자 원리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훈민정음 표준 해설서》를 제작해 배포하고 있다. 훈민정음의 상세한 사용법을 담은 설명서인 훈민정음해례본은 지난 1997년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으로 등재될 정도로 그 가치가 크지만, 한문으로 작성되어 있어 일반인이 읽기에는 어려운 점이 많았다.

이에 국립한글박물관은 훈민정음의 제자 원리를 쉽게 이해해 훈민정음의 과학적 특성과 가치를 제대로 알 수 있도록 표준 해설서를 제작해 지난 6월 28일 발간했다. 해설서는 훈민정음에 대해 누구나 알아야 할 기본 내용을 비롯하여 한글, 자모 등 한글 용어를 정리했다. 더불어 초안 작성 이후 국립국어원, 훈민정음학회, 한글학회, 전국국어교사모임 등 관련 분야의 전문 단체로부터 자문을 받아 그 완성도를 더했다.

『청구영언』 최초공개 <순간의 풍경들, 『청구영언』 한글 노랫말 이야기>

국립한글박물관은 현재 전시중인 <옛날 옛날 아주 먼 옛날에>를 비롯해 <훈민정음과 한글디자인>, <한글 편지, 시대를 읽다> 등 총 15개의 기획전시를 개최했다. 특히 기획특별전 <순간의 풍경들, 『청구영언』 한글 노랫말 이야기>를 통해 한글로 기록한 최초의 가곡 노랫말 모음집 김천택의 『청구영언』 원본을 최초로 공개했다. 아울러 『청구영언』 원본에 영향을 받아 편찬된, 『청구영언 장서각본』(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청구영언 시조』(성균관대학교 존경각 소장) 등 다른 책도 함께 전시했다.

또한 『청구영언』을 포함해 우리나라 3대 가집으로 불리는 『해동가요』(1755년), 『가곡원류』(1872년)가 한자리에 선보였고, 『청구영언』에서 일상을 담아낸 노랫말을 다양한 영상으로 담아내 전시관을 찾은 관람객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한글 노랫말을 느낄 수 있도록 풀어냈다.

한글과 한글문화의 역사를 살필 대표적 자료 수집

관람객들이 한글에 관련된 풍성한 사료를 만나볼 수 있도록 2017년에도 한글박물관의 자료 수집이 계속되었다. 대표적으로 한글 창제 이전의 문자 생활을 살필 수 있는 『초조본 유가사지론』(권66)과 신숙주(申叔舟)가 작성한 『해동제국기』(서울시 유형문화재 제310호)를 확보했다. 한글 창제에 큰 역할을 맡았던 신숙주는 1443년 일본에 사신으로 다녀온 후 왕명을 받아 일본의 정치 · 외교 · 사회 · 풍속 · 지리 등을 종합적으로 정리해 책을 제작했으며 유구(오키나와)어를 한글로 채록한 어음번역(語音飜譯)이 함께 실려 있다.

또한 존 번연이 짓고 제임스 게일이 번역한 종교서 『천로역정』의 초판본과 근세 국어운동가 이봉운(李鳳雲)이 띄어쓰기를 하고 한글로 저술한 최초의 한글 국어 문법 연구서 『국문정리』도 수집했다. 이외에도 한글 창제 직후인 15세기의 국어사 자료인 간경도감 초간본 『법화경언해』(권6)가 한글박물관에 기증되었다.

역대 최다인원 참가한 제571돌 한글날 행사 개최

제571돌 한글날을 맞아 국립한글박물관은 10월 8일과 9일 양일에 걸쳐 다채로운 문화행사를 마련했다. ‘한글 옷 만들기’, ‘세종 인재를 뽑다’ 등 체험 행사를 비롯해 ‘세종이 꿈꾼 세상, 그리고 한글’ 등의 강연도 선보였으며 한글날 행사에 방문한 관람객은 2만 5천 명을 넘어섰다.

국립한글박물관 관람객 년도별 추이, 2014년(10.9 개관) 전체관람객 129,475명/외국인 2,590명, 2015년 전체관람객 532,566명/외국인 10,334명, 2016년 전체관람객 564,393명/외국인 10,190명, 2017(11.20 현재) 전체관람객 600,791명/외국인 14,160명, 누계 전체관람객 1,827,225명/외국인 37,274명
연도별 한글날 행사 참여인원 추이 2015년 19,838명, 2016년 16,013명, 2017년 25,411명 ▲ 박물관 관람객 수 추이